로고SEED Design
Foundation

우리가 이야기하는 방법

당근은 동네 이웃들의 연결을 도와 따뜻하고 활발한 교류가 있는 지역 사회를 꿈꾸고 있어요. 우리는 지역 안의 모든 정보를 누구나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고 커뮤니티의 구성원들이 다 함께 교류하는 따뜻한 서비스를 만들어요.

당근에서 글의 역할

Service Usability

  • 사용자의 행동을 이끌어 사용자의 목적 달성을 도와요.
  • 언어, 문화 등과 관계없이 누구나 쉽게 당근을 사용할 수 있어요.
  • 사용자의 의사결정 과정을 즐겁게 만들어요.
  • 모든 사용자는 서비스 내에서 일관적인 경험을 해요.
  • 당근을 신뢰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요.

Brand Engagement

  • 브랜드의 가치를 전달하고 정서적 유대감을 형성해요.
  • 내가 사는 곳, 내가 속한 지역사회에 애정을 가질 수 있게 도와요.
  • 사용자 또한 지역 사회의 구성원임을 자각하게 돕고, 이웃의 존재를 알려 활발한 교류를 끌어내요.
  • 지금보다 더 당근을 좋아하게 만들어요!

기본 원칙

명확한, 이해하기 쉬운, 사려깊은

  1. 명확하고 간결하게 말해요.
    1. 명확하고 간결하게 필수적인 정보를 전달하여 사용자의 의사결정을 도와요.
    2. 당근을 신뢰할 수 있는 공간으로 만들어요.
  2. 이해하기 쉽게 말해요.
    1. 누구나 쉽게 당근을 사용할 수 있어요.
  3. 사려깊게 말해요.
    1. 사용자 입장에서 생각해요.
    2. 성별, 나이, 종교, 혼인 여부, 인종, 장애 등 다양성을 존중하고 배려하는 글을 써요.
    3. 말에는 정보뿐 아니라 감정도 담겨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요.

보이스 톤

활기차고 친절한

  1. 이야기하듯 친근하게 말해요.
  2. 활기차고 자신감 있는 언어를 사용해요.

작은 글쓰기 가이드 12가지

익숙한 단어를 사용해요. 기술적인 용어나 한자어는 지양해요.

✖️ 상대방과 대화가 불가능합니다.
⭕️ 상대방과 대화할 수 없어요.

✖️ 동네인증 가능한 위치가 아니에요.
⭕️ 동네인증을 할 수 없는 위치예요.
한자어 대신 순우리말로 써보세요.

✖️ 서버 에러 / unknown error 등 [장애상황/기술용어]
⭕️ 죄송합니다. 일시적으로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어요. 잠시 후 다시 시도해주세요.
에러 메시지도 마찬가지예요. 사용자가 직접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 가장 좋아요. 에러 메시지는 가능하다면 해결 방법도 함께 알려주세요

존칭어 사용을 최소화해요. 정말 꼭 필요할 때만 존칭어를 사용하세요.

✖️ 최대 2개의 글을 등록하실 수 있어요. [존칭어]
⭕️ 최대 2개의 글을 등록할 수 있어요.

✖️ 혹시 자전거를 찾고 계신가요? [존칭어]
⭕️ 혹시 자전거를 찾고 있나요?

⭕️ 보리엄마님, 꿈돌이님과 거래 어떠셨나요?
⭕️ 보리엄마님, 사고 싶은 물품의 키워드를 등록해보세요.
유저의 이름을 부를 때는 조금 더 고민해봐요. 소리내어 읽어보면 좋아요.

수를 표현할 때는 아라비아 숫자를 사용해요.

✖️ 보리엄마님이 당근 한 개를 보냈어요.
⭕️ 보리엄마님이 당근 1개를 보냈어요.
정보가 더 잘 보여요. 기분 탓일까요?

축약어, 은어, 속어, 유행어 등은 지양해요.

✖️ 끌올은 사용자마다 하루에 최대 5회까지 가능합니다. [축약어]
⭕️ 끌어올리기는 매일 5회까지 할 수 있어요.
사용자들이 끌올이라고 줄여부르더라도 우리는 끌어올리기라고 이야기해야 해요.

기능의 이름보다는 기능의 목적을 전달해요.

✖️ 보리엄마님이 참외죠아님의 댓글에 좋아요를 눌렀어요.
⭕️ 보리엄마님이 참외죠아님의 댓글을 좋아해요.

같은 내용이라면, 긍정문을 사용해보세요.

✖️ 한 달에 한 번 이상 닉네임을 변경할 수 없어요.[부정]
⭕️ 닉네임은 한 달에 한 번만 변경할 수 있어요. [긍정]
긍정문을 사용해서 당근을 더 밝고 활기찬 곳으로 만들어보세요.

능동문을 사용해요.

✖️ 잠깐만요! (보리엄마님에게만 보여지는 메시지입니다.) [이중피동]
⭕️ 잠깐만요! (보리엄마님에게만 보이는 메시지입니다.) [피동문]
🤔 잠깐만요! (보리엄마님만 보는 메시지입니다.) [능동문]
1. 예시를 보고 놀라셨나요? 가이드보다는 좋은 문장이 먼저예요! 능동문보다 피동문이 의미 전달이 더 잘 된다면? 당연히 피동문을 사용해요.2. 자동으로 발송되는 메시지고, 사용자가 조심해야하는 상황에 나오는 메시지라면 '~요' 대신 '~니다'를 사용하여 문장에 무게를 실어요.

처리, 완료 등 데이터의 변화보다는 사용자의 행위를 표현하는 말에 집중해보세요.

✖️ 거래 후기 작성을 완료했어요.
🤔 거래 후기를 작성했어요.
⭕️ 거래 후기를 보냈어요.
아라비아 숫자 사용 / 존칭어 제거 / 행위 표현 / 한글 사용(후→뒤)

✖️ 보리엄마님이 등록하신 게시물은 이틀 후에 숨김 처리돼요.
⭕️ 보리엄마님의 게시글 모두 2일 뒤에 숨겨질 거예요.

사용자의 마음에 충분히 와닿았으면 해요. 진심을 담아 사려 깊게 이야기해요.

🤔 채팅하기 [기능의 이름]
⭕️ 채팅으로 거래하기 [기능의 목적]
당근으로 처음 모바일 앱을 시작한 분들도 있어요. 채팅이나 댓글 등을 모르는 사용자도 헤매지 않았으면 해요.
✖️ 혹시 상대방이 이상한 대화를 유도하나요?
⭕️ 잠깐만요, 혹시 지금 대화가 불쾌하지는 않으셨나요?
상대방이 거래와 관련 없는 대화를 시도하면, 당근 팀에게 신고해주세요!
당근을 믿을 수 있는 커뮤니티로 만들고 싶어요. 하지만 우리의 예측은 언제나 틀릴 수 있어요. 불쾌한 대화로 예측된 당사자에게 노출되지는 않지만, 이 시스템 메시지를 우연히 보게 되더라도 기분이 상하지 않았으면 해요.

거래 약속을 깜박하지는 않으셨나요? 약속을 잘 지키는 따뜻한 이웃이 되어보세요.
- 혹시 약속을 자꾸 잊는다면 거래 약속 알림을 사용해보는 건 어때요? :)
거래약속을 자꾸 잊는 비매너 사용자도 달라질 수 있다고 믿어요.

주소가 공유되었네요! 당근마켓은 택배거래보다 직거래를 권장해요.
직거래할 때는 누구나 찾기 쉽고 안전한 공공장소가 좋아요 :)
거래 장소를 계속 바꾸며 집으로 유도하는 케이스가 발견되었어요. 하지만 주소는 택배 거래에도, 아이가 있어서 이동이 어려운 경우에도 많이 공유돼요. 위험한 요소를 알려주되, 공포를 조장하지는 않아요.

🌱 슬기맘님은 지금 첫 거래를 하고 있어요. 당근마켓 이용이 다소 서툴터라도 따뜻하게 환영해주세요.
첫 거래의 경험을 기분 좋게 만들고 싶어요. 거래 경험이 없는 사용자와 채팅하면 이런 메시지를 볼 수 있어요.

하나의 목적에 집중해요. 목적을 해치는 부가적인 설명은 최소화해요.

  • 더 설명하고 싶은 당신의 마음을 이해해요. 하지만 긴 문장을 읽기 힘들 수 있어요.
  • 혹시 문장이 길어지고 있나요? 문장 하나에는 하나의 내용만 담고 문장을 분리해보세요.

사는 곳이나 지역사회, 지역사회의 구성원의 이야기를 담아보세요.

지금 역삼동 근처 주민들과 중고 직거래를 시작해보세요.
내가 쓰지 않는 물건이 누군가에게는 필요한 물건일 수 있어요! ☺️
가입 권유 푸시 메시지에도 사용자의 동네 이름을 넣어요. 당근이라는 공간은 우리 동네를 연결하는 커뮤니티라는 걸 꾸준히 알려주려 해요.

여정의 끝을 즐겁게 마무리해보세요.

좋은 기억은 오래 남아요. 사용자가 긍정적인 경험을 했을 때 적절한 글로 함께 환희를 느껴요!

작은 규칙

느낌표

꼭 필요한 순간에 사용해요. 반복적인 느낌표는 의미를 잃어요.

  • 한 화면에는 하나의 느낌표만 사용해요.
  • 새롭고 놀라운 일을 알릴 때 사용해요.
  • 긍정적인 상황에서 쓰는 것을 권장해요.

띄어쓰기

기능명, 서비스명, 상태값 자체를 의미할 때는 붙여써요.

✖️ 예약 중
⭕️ 예약중

✖️ 거래를 약속하셨나요? "티슈 케이스.." 글을 [예약 중]으로 바꿔보세요.
⭕️ 거래를 약속하셨나요? "티슈 케이스.." 글을 [예약중]으로 바꿔보세요.

상태를 표현하는 내용의 문장에서는 원칙에 따라 띄어써요.

✖️ 예약중일 때는 채팅할 수 없어요.
⭕️ 예약 중일 때는 채팅할 수 없어요.

쉼표 뒤에는 띄어써요.

마침표

평서문이나 명령문의 마지막에는 반드시 마침표(혹은 느낌표)를 사용해요.

단, 아래의 경우에는 마침표를 사용하지 않아요.

  • 메인 타이틀 영역 문구
  • 큰 글씨(20pt 이상)로 들어가는 문구
  • 버튼, 메뉴, 라벨에 들어간 문구
    • 버튼에서 문장을 사용하고 긍정 혹은 부정의 감탄사(네, 아니요)가 있다면 쉼표를 넣어주세요.

⭕️ 네, 변경할래요
⭕️ 확인했어요
⭕️ 채팅하기
⭕️ 취소

마침표…더 궁금하다면? 누구나 잘 쓸 수 있다 (당근 맞춤법 가이드)

마지막으로...

짧은 가이드가 도움이 되었을 지 모르겠어요. 이 세상에 완벽한 글이라는 건 없어요. 예시도 내일은 최선이 아닐 수 있고, 언제든 더 좋은 글로 바뀔 수 있어요. 우리의 꾸준한 관심만이 변화를 만들어 낼 거예요. 진심이 사용자에게 닿도록 함께 노력해요.

On this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