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고SEED Design

Text

이 문서는 정리 중이에요. 문의 내용은 #_design_core 채널을 찾아주세요.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import { Flex, Text } from "@seed-design/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extPreview() {
  return (
    <Flex direction="column" gap="x2">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1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2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3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4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5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6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7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8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9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10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Flex>
  );
}

Usage

import { Text } from "@seed-design/react";
<Text />

Props

PropTypeDefault
as?
"dt" | "dd" | "h1" | "h2" | "h3" | "h4" | "h5" | "h6" | "p" | "span" | "strong" | "legend"
"span"
color?
ScopedColorFg | ScopedColorPalette
-
fontSize?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t10" | "t2Static" | "t5Static" | "t6Static"
-
lineHeight?
"t1" | "t2" | "t3" | "t4" | "t5" | "t6" | "t7" | "t8" | "t9" | "t10"
-
fontWeight?
"regular" | "medium" | "bold"
-
maxLines?
number
-
align?
"left" | "center" | "right"
-
textStyle?
"screenTitle" | "articleBody" | "t1Regular" | "t1Medium" | "t1Bold" | "t2Regular" | "t2Medium" | "t2Bold" | "t3Regular" | "t3Medium" | "t3Bold" | "t4Regular" | "t4Medium" | "t4Bold" | ... 12 more ...
t5Regular
textDecorationLine?
"none" | "line-through"
none

Examples

Text Styles

Figma의 Text Style과 대응되는 textStyle 속성을 사용하는 것이 기본 방법입니다.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import { Flex, Text } from "@seed-design/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extTextStyles() {
  return (
    <Flex direction="column" gap="x2">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1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2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3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4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5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6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7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8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9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10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Flex>
  );
}

Font Sizes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fontSizelineHeight 속성을 각각 사용할 수 있습니다.

lineHeight 속성은 fontSize에 대응되는 기본값으로 설정되며, lineHeight 속성으로 변경이 가능합니다.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import { Flex, Text } from "@seed-design/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extFontSizes() {
  return (
    <Flex direction="column" gap="x2">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1">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2">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3">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4">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5">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6">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7">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8">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9">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10">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Flex>
  );
}

Font Weights

세밀한 제어가 필요한 경우 fontWeight 속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import { Flex, Text } from "@seed-design/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extFontWeights() {
  return (
    <Flex direction="column" gap="x2">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5" fontWeight="regular">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5" fontWeight="medium">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Text color="fg.neutral" fontSize="t5" fontWeight="bold">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Flex>
  );
}

Line Through

textDecorationLine 속성을 사용하여 텍스트에 취소선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import { Flex, Text } from "@seed-design/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TextLineThrough() {
  return (
    <Flex direction="column" gap="x2">
      <Text color="fg.neutral" textStyle="t5Regular" textDecorationLine="line-through">
        다람쥐 헌 쳇바퀴에 타고파
      </Text>
    </Flex>
  );
}

Last updated on